오늘은 선거의 4대 원칙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.
4대 원칙은 공정하고 민주적인 선거를 위한 치르기 위한 네 가지의 원칙을 말합니다.
선거 4대 원칙
선거의 4대원칙에는 보통선거, 평등선거, 직접선거, 비밀선거 네 가지로 나뉩니다.
현재 대한민국은 4대원칙을 따르고 있습니다.
1. 보통선거
보통선거는 모든 국민이 정해진 나이가 되면 성별, 신분. 부의 관계없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원칙이다. 우리나라는 만 19세가 되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. 반대되는 개념으로 제한 선거가 있으며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어야만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
2. 평등선거
평등선거는 성별, 학력, 권력, 부와 상관없이 누구나 한 표씩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. 한 표의 가치가 사람마다 다른 게 아니라 같다는 평등원칙을 따르고 있다. 반대되는 개념으로 차등 선거가 있으며 차등 선거는 신분이나 부의 차이로 행사할 수 있는 표의 양이 달라진다.
3. 직접선거
직접선거는 선거권을 가진 사람이 다른 사람이 대신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투표하는 것을 말한다. 직접선거의 반대 개념으로 간접 선거가 있으며 과거 우리나라도 간접선거로 대통령 선거를 한 적이 있다. 간접선거를 하는 대표적인 나라가 미국이다.
4. 비밀선거
비밀 선거는 투표를 하는 투표자의 비밀이 보장되는 것을 말한다. 선거의 비밀이 보장됨으로써 압력이나 유혹을 막아 공정한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. 비밀선거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공개투표는 거수, 기립, 호명 등으로 투표자의 비밀이 보장되지 않는 선거를 말합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커피 하루 권장량으로 건강하게 마시기 (0) | 2022.03.05 |
---|---|
재테크 읽어주는 파일럿 부동산 비법서 도착~ (0) | 2022.03.04 |
재석이형 타임캡슐을 타다 (0) | 2022.03.03 |
댓글